평화의소녀상 존치 여부에 대한 합의 불발 – 코리아협의회가 제안한 대체안
2024년 9월 24일에 코리아협의회와 슈테파니 렘링어(Stefanie Remlinger) 베를린 미테 구청장과의 면담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면담의 목적은 전시 성폭력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협력을 위해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었습니다. 평화의소녀상 존치 여부에 대한 합의 불발 우리는 여전히 소녀상이 현재의 위치에 그대로 남아 있기를 바라며, 지난 16년 동안 깊이 뿌리내린 모아빗(Moabit) 지역 사회에서 베를린 일본군’위안부’박물관 Museum der Trostfrauen (MuT)과 함께 중요한 교육적 역할을 지속하고 싶습니다. 평화의소녀상의 의미와 상징성, 그리고 지역 주민, 피해자, 지지자들의 뜻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미테 구청이 평화의소녀상 ‘아리’를 공공장소에서 철거해야 한다는 법적 근거를 공개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는 논의를 위한 기본 전제가 될 것이었지만, 구청은 이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대화가 시작되자마자 구청은 새로운 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도 없이 소녀상을 사유지로 이전하는 것에 맹목적으로 동의하라는 압박을 가했습니다. 구청 측에서는 소녀상이 모아빗에 남을 수 있는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의지가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불평등한 권력관계와 압력에 기반한 타협은 있을 수 없습니다. 이에 더해 렘링어 구청장은 코리아협회가 4주 안에 독자적으로 새로운 위치를 찾아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또한 장소 선정의 책임은 전적으로 코리아협의회에 있으니 구청은 단순한 지원 역할만 하겠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4주라는 기간은 비현실적이며 반드시 연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