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비롯한 전 세계 한인사회는 성폭력 피해자를 추모하고 평화와 정의의 상징으로 서 있는 베를린 평화의소녀상을 둘러싼 최근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베를린의 정치 지도부가 전쟁 범죄에 대한 재평가와 과거사 청산을 지지하는 대신, 일본 로비의 영향력에 굴복하는 것처럼 보임에 따라 베를린 소녀상을 보호하고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코리아협의회는 재독 한인동포들의 공개 서한을 작성하고 연명을 요청했습니다. 한민족유럽연대 서의옥 대표는 지난 12월 6일(금) 베를린 미테구청장 스테파니 렘링어를 직접 만나 이 <재독 한인동포의 공개 성명서>를 전달하며, 베를린의 정치적 결정권자들이 역사적 책임을 깨닫고 베를린 평화의소녀상 아리를 지켜줄 것을 호소하는 재독 한인동포들의 분명한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재독 한인동포의 공개 성명 : 베를린 평화의소녀상 아리를 지켜주세요!
우리는 독일 연방공화국의 한국계 시민들로서, 50년에서 60년 동안 이 사회의 일원이 되어 살아 왔습니다.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간호사와 광부로 이곳에 와서 평생 독일사회의 발전과 번영에 기여하였습니다. 독일내 한인 동포사회는 2세, 3세로 이어져 약 2만 – 4만명으로 유학생과 다양한 직종의 한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 독일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우리는 인도적이고 정의로운 가치를 지향하는 독일사회를 깊이 신뢰해왔습니다.
그러나 현재 베를린 미테구의 평화의소녀상 철거 위협에 직면하여 우리는 크게 실망했습니다. 소녀상은 평화의 상징으로서 역사를 바로 알고, 역사로부터 교훈을 얻고,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해줍니다. 소녀상이 이렇게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거될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일본 정부 로비의 압력 때문입니다. 우리는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소녀상은 한낱 생명없는 기념물이 아니라, 더욱 정의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만드는 일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자는 호소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독일 정부에게, 일본 정부의 역사 지우기 로비와 압력에 굴복하지 말고, 분명하고 독자적인 입장을 취할 것을 촉구합니다.
베를린 평화의소녀상 철거 위기에 맞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우리의 입장을 공표합니다.
2020년 사단법인 코리아협의회의 노력으로 독일 베를린 미테구에 세워진 평화의소녀상 ‘아리’는 2024년 9월 28일 이후 철거될 예정입니다. ‘아리’는 이 추모비의 이름으로서, ‘태평양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조직적으로 동원되어 강제적인 성노예로 희생된 한국 및 기타 아시아 여성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소녀상은 미국, 캐나다, 호주, 중국, 이탈리아 등 세계 여러 나라에 점점 더 많이 세워지고 있습니다.
지난 7월 19일, 스테파니 렘링어 미테구청장은 이전의 호의적인 태도를 바꾸어, 코리아협의회와 만난 자리에서 9월 28일까지 자체적으로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했고,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과태료를 부과할 것이라고 통보했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우려했던 조치로서, 지난 5월 베를린시와 도쿄시 간에 맺어진 자매결연 30주년을 기념하여 카이 베그너 베를린 시장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그 가능성이 예상되었었습니다. 베그너 시장은 일본 외무장관 카미카와와 회담을 가졌으며, 베를린 주정부는 2024년 5월 16일 다음 내용을 포함한 보도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베를린 시장은 논란이 되고 있는 베를린 ‘위안부’ 기림비 문제를 해결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베를린 시와 연방 정부를 포함한 모든 관련 당사자들과 논의 중이라고 밝히며, ‘사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고 말했다. 그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반대하는 기림비는 필요하지만, 일방적인 주장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며 일본 대사를 이러한 논의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
평화의소녀상은, 식민주의 하에서 일어난 성폭력 범죄의 피해자인 여성의 관점을 표현한 기림비입니다. 피해자의 시각을 대변하는 것이 일방적이라고 비난하는 것이 적절합니까? 독일에는 많은 홀로코스트 추모비가 있습니다. 이것도 일방적으로 피해자만 대변한다고 비판할 수 있습니까?
베를린 시의 논의과정에 코리아협의회는 지금까지 대화 상대자로 초대받은 적이 없습니다.
또한 베를린 시는 일방적으로 가해자인 일본 정부의 요구에 굴복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베를린의 소녀상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평화의소녀상이 설치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철거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소녀상을 통해 일본의 불법적 침략전쟁과 전시 성폭력에 대한 책임이 제기될 것이기 때문이며, 일본정부는 이러한 문제 제기로 인한 ‚반일적‘ 인식을 차단하려는 것입니다.
소수의 정치인과 지식인을 제외하고, 우익 성향인 일본 정부는 전후 80년이 되는 오늘날까지도 불법적 침략전쟁과 식민지배의 과거역사를 청산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으며, 되려 왜곡하고 부정하고 있습니다.
평화의소녀상은 이러한 태도, 즉 과거사에서의 책임 문제를 부정하는 태도에 문제를 제기하며, 잘못된 과거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성찰을 요구합니다. 이 점에서 소녀상의 존재는 매우 중요합니다.
평화의소녀상이 반일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까? 일본이 과거사의 죄과에 대해 성찰하도록 격려하는 일은, 일본으로 하여금 갈등이 많았던 역사를 청산하며, 전쟁의 피해자들과 화해하여,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계 속에 좋은 이웃 국가로 통화합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기여하지 않겠습니까? 이것이 일본을 반대하고 적대시하는 일입니까?
평화의소녀상을 철거한다면, 이는 베를린의 시민들과 베를린을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 한 공간을 없애는 것입니다. 평화의소녀상은 기억과 저항, 그리고 미래로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장소로 지켜져야 합니다.
더욱이 평화의소녀상은 지금까지 코리아협의회가 진행한 교육 프로젝트 “내 옆에 앉아봐!”에서 중요한 교육적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일본군’위안부’ 역사를 출발점으로 하여, 전쟁과 일상에서의 성폭력에 대해 알리고, 이 주제를 예술적으로 이끌어 내는 것입니다.
rbb2, taz3 및 nd4의 보도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 마저 카이 베그너와 일본 대사관의 압력으로 지원이 끊길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재독 한인사회는 코리아협의회와 함께 다음 사항을 촉구합니다.
- 일본 정부는 평화의소녀상을 철거하려는 정치적 압력을 멈추고, 코리아협의회의 교육 프로젝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방해하지 말라! 일본 정부는 제3국의 문제에 개입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과거를 철저히 청산하고,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불의를 저지른 것에 대해 책임을 져라!
- 평화의소녀상의 영구 존치를 위해 4만 5천여 명이 온라인 청원에 서명했고, 수천 명의 미테구 주민들이 주민 청원을 냈다. 카이 베그너는 자국민인 독일 시민의 요청에 부응하고, 일본의 수정주의적 정부를 위해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사용하지 말 것을 다시 한번 요구한다!
- 우리는 스테파니 렘링어 구청장에게 요청한다. 베를린 시장 카이 베그너와 일본 정부의 압력에 맞서 평화의소녀상 철거를 막아라!
- 우리는 베를린 주정부에게 요청한다. 코리아협의회의 프로젝트 “내 옆에 앉아봐!”의 지원 승인 거부의 진상을 철저히 조사하고, 심사위원회에서 결정한 대로 이 프로젝트 지원을 계속하라!
- 우리는 가해자 보호가 아닌 피해자 보호를 요구한다! 이 원칙은 청소년을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을 강화하는 데에서도 적용되는 것이다.
최초 서명자 (17)
Koreanischer Evangelischer Gemeindekonvents in Deutschland / Dokdo-Jikimi in Deutschland / Me Too Asians / Korean Council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rlin / Koreanische Arbeitsgruppe in Berlin / Koreanischer Krankenschwestern und -pfleger sowie -pflegehelferinnen und -helfer e.V. / Won-Buddhistischer Tempel Berlin e.V. / Korean Women’s International Network in Germany / Schutz der Friedensfigur Olympia GriechenlandKoreanische Arbeitsgruppe in Berlin / Koreans in Europe for Peace / Netzwerk der Koreaner in Deutschland / Jai Dok Hanin Berlin Glückauf Hoi / Koreanische Friedensgruppe in Deutschland / Koreanische Frauengruppe in Deutschland / Korea Verband e.V. / Solidarity of Korean People in Europe / Global Candle Light Action – Hamburg
지지 서명자 (366)
강수민 / 권유리 / 권태순 / 김경희 / 김금선 / 김나경 / 김나오미 (Naomi Kurz) / 김대래 / 김도희 / 김명수 / 김미나오 (Mi Náo Kim) / 김민선 / 김수연 / 김숙현 / 김순선 / 김순실 / 김시연 / 김영순 / 김오안 (Kim O-An) / 김올가 (Kim Olga) / 김윤서 / 김점란 / 김준숙 / 김태은 / 김하나 / 김한길 / 김현지 / 김혜숙 / 나복찬 / 노영국 / 노영민 / 민춘숙 / 박민정 / 박성자 / 박성훈 (Seonghun Park) / 박진희 / 박찬욱 / 박해조 / 박혜연 / 박화자 / 박희옥 / 배지영 / 배진훈 (JINHOON BAE) / 사단법인민중문화모임 / 선애진 / 손유현 / 송경자 / 신윤영 / 신혜림 / 신흥열 / 안연선 / 양부덕 / 양옥희 / 양인동 / 오조희 (Johee Oh) / 유혜원 (Hye Won Yoo) / 윤영탁 / 윤운섭 / 이경각 / 이구경숙 / 이기흥 / 이민자 (Minja Glaesser) / 이보영 (Bo Young Lee) / 이보희 / 이복순 / 이봉숙 / 이상덕 / 이상숙 (Lee-Schuster Sang-Suk) / 이선희 / 이영민 / 이영우 / 이영희 (Younghee Lee) / 이우빈 / 이은서 / 이은정 / 이은지 / 이현정 / 이현정 / 이혜숙(Hye-Sook Lee) / 이화림 (Hwarim Linnhoff-Lee) / 임정희 / 장선화 / 장옥라 / 장희경 / 전은영 / 정수진 / 정영금 / 정영숙 / 정천식 / 정현옥 / 정현정 / 조기종 / 조성호 (Sungho Cho) / 조수경 / 조윤선 / 좌경애 / 주주미 / 차성환 / 채명수 / 천효빈 / 최미정 / 최연자 / 최영숙 (YoungSook Rippel-Choi) / 최외순 / 프랑크푸르트 촛불행동 모임 / 한은경 / 한정로 (Chung Noh Gross) / 황선경 / 황지영 / Ah-Hyun Angela Lee / Ah-il Kim / Ah-Young Suh / Ahn Soon Rha / Alexandra Paulus / Anna / Anna So-Shim Schumacher / Aro Han / Bae Jongtae / Baegeun Choi / Bo-Sung Kim / Bongjun Chin / boyong Kim / Chang Wan Yoo / Changeol Lee / Chiho Yoon / Christine Städter / chung ho seok / Chung-Shin Kim / Daana Mohamed / Dahyun Park / Deok-Lea An / Dieu Hao Do / Dong Hyuk Kim / Dong-Ha Choe / Dongjoo Han / DONGJU NA / Dr. Sabine Hannesen / Dr. So Young Ryou / Dr.Mathias Glaesser / Duc-Thi Bui / Duck-Hie Bittner / Dung Ngoc Pham / Eun Joo Ryoo / Eun Joo Shim / Eun-Joo Preuss / Eun-Sil Pohlabel / Eunbyul Kim / Eunhee Han / Eunkyung Lee / Eunman Kim / Euno Kim / Eunseon Mun / Eunseong Park / Eunyoung Hurh / Franz Schlenke / Gabriela Mosler / Gulbahar yorulmaz / Hae Ok Kang / Haeoreum Lee / Haeun Baek / Hakyung Kang / Hanna Lie / Hannah / Hans Schlosser / Harriet Vu / Hayoung Lim / Heodakyung / Hi-Kil Lim / Hi-Sun Bae / Hye-Kyong Jeong / Hyemin Namgung / Hyeokjin Kwon / Hyeseung Suh / Hyo Gyeong Cho / Hyojun Nam / Hyondok Choe / Hyontsin Lee / Hyun Ung Park / HYUNA NA / Hyung-Guhn Yi / HyungJu Kwak / Hyungrok Bang / HyunHwa Chae / Hyunsuk Lee / In-Kyoung Han / Isabel Kim / Jae Eun Lee / Jae-Hyun YOO / Jae-Moon Kim / JAE-OK KWON / Jai Seung Kim / jasmin l. / Jeong Sook Woo / Jeongyeon Kim / Ji Sun Lee / Ji Young Kang / Jicheol Park / Jieun Bong / Jieun Park / Jihye Choi / Jihye lee / Jihyun / Jin Bae / Jin Hak Mok / Jin Schulz-Kim / Jinhong Lee / Jinhyang Moeck / Jinwook Yun / Jisoo lee / Jiwon Han / Jiwoo Choi / Jiyeon Kim / Jiyoung Park / Joan Lee / Joana / Joanna K Back / Jong-Hyoun Rhee / Jonghee Choi / Jonghyun Lee / Jongran Han / Jongsoo Ko / Jooan choi / Joung-Woon Lee / Jueun Kang / Juhee Han / Jun-Ho Kim / Jung-Chul Hwang / Jung-Hwa Han / Jung-Jae Kim / Jung-Sil Walther-Kang / Jungwan Lee / Jungyoun Cho / Junmo Yang / Junseok Won / Kaya Ensemble, koreanische TraditionaleTanzgruppe / Keum Sun Chong / kiduk Moon / Klaus Stork / Koreanische Friedensgruppe in Frankfurt / Kwan Ja Kwon / Kwang-Jin Hong / Kwonsoo Jeon / Kyu Hyun Park / Kyun Sup Lee / Kyung Sun Ryu / Kyung-Sook Halama / Kyung-Soon Vongries / Kyungah Roh / Lakshmi Tuting / Lalitha Tuting / Lara Thea Spanagel / Laura Artemis Chodzinski / Li Jung Kwon / Liane Clevert / Malika Schuh / Manfred Zellner / Marvin Kim / Mi Ae Kim / Mi Náo Kim / Mi Young Song / Mi-Oh Lange / Mia Teufel / mihye Cho / Mihyun Seo / Mikyeong Lee / Min C. Wi / Min Kyung Kim / Mina Bai / MinJi Kim / Minjin Chae / Minjung Chae / Mirae kh Rhee / Misook Chung / Miye Hong / Miyeon Choi / Miyoung Kwun / moojin Kim / MOONHEE KIM / Mu-Hyun Baek / Myungim Suh / Myungim Suh / Na-Rhee Scherfling / Nam-Uk Baik / Nayoung Kim / Nayoung Kim / Ok-Hee Kim / Onur Ilter / Park Hyung Suh / Park Sol / Park, I. / Philipp Glãsser / Piet Kortenjan / Rebecca Sumy ROTH / Rita Zobel / Roxanne Tuting / Saemi Han / Sang Hyeon Lee / Sang Seon Lee / Sang-heui Jeon / Sangjoon Woo / Sarang Jung / Schuster Frank / Seohee Jang / Seon-Yu, Park / Seong-Hi Bai / SeongHoon Hwang / Seonju Kim / Seung Hee Shin / Seung-yeon Han / Seunghoon Kim / Seungjin Bae / Seungwoo Han / Sina Schindler / Sinn Kim / So-Young Kim / Sojeong Kim / Solveig Faust / Songhak Song / Soon Im Kim-Morris / Soonyoung chung / Soyoung Han / Stephanie Park / Subin Nam / Sue Kokusho / SUE-GAB EOH / Suha Ko / Suk Kang / Sumi Park / Suna Kang / Sung Ja Stein / Sung-Yon Lee / Sungchan Bae / Sunghee Choi / Sunhee You / Suyeon Kim / Sven Fritsche / Tae-Yun Bittrich-Yu / Taejong Kim / Tung Le / Victor Fischer / Wanjin Park / Woo Ram Lim / YAJIMA TSUKASA / Yang-Soon Park-Rügler / Yanghee Kim / Yein Kwon / Yejin Hwang / Yeonmi LEE / Yerin Kim / Yonghyuk Lee / Yongwoo Kwon / Yoojin Chang / YOU CHUL KIM / Youjung Choi / Young sook Lee-Wallersheim / Younga schaub / Youngmi Yoo / YoungSook Rippel / Yujin Jung / Yumi Ko / Yumiko Ishiyama / Yun Huang / Yuna Esser / Yunseon Jeong / Yurim Sung / Zisun Hong
사진 제공: 최미연, 2024년 6월 19일, 베를린 평화의소녀상 앞
- https://mediendienst-integration.de/de/artikel/die-zweite-generation-hat-ein-anderes-selbstverstaendnis.html ↩︎
- https://www.rbb24.de/panorama/beitrag/2024/08/wegner-bildungsprojekt-stopp-trostfrauen-berlin-moabit.html ↩︎
- https://taz.de/Trostfrauen-Mahnmal-in-Berlin/!6025173/ ↩︎
- https://www.nd-aktuell.de/artikel/1184277.kolonialismus-friedensstatue-arbeit-mit-ari-gecancelt.html ↩︎
This post is also available in Deutsch.